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4

현대미술기획전 《공동의 감각》 – 잊고 있던 ‘우리’를 다시 마주한 시간 지난여름, 대전시립미술관에서 열린 현대미술기획전 《공동의 감각》을 다녀왔다. 팬데믹 이후 우리가 잃어버렸던 것들—서로의 체온, 공기를 나누던 일상, 자연스레 맺어졌던 관계들—그 모든 것을 되짚는 여정이었다. 전시는 ‘우리’라는 단어를 중심에 두고, 인간 사이의 연결성과 공동체적 감각을 재조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세 개의 섹션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우리를 음미하기〉, 〈함께 위기에 처하기〉, 〈Imagine, 우리를 확장하기〉라는 제목 아래, 평면, 영상,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관람객을 그 감각의 회복으로 이끌었다.특히 나는 〈함께 위기에 처하기〉 섹션에서 오래 머물렀다. 전시장 안을 가득 채운 영상과 설치, 그 속에서 쉼 없이 흐르던 사람들의 움직임과 목소리,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2025. 3. 21.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5 – K조달, 세계로 가는 길을 열다 대한민국 공공조달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행사인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5가 3월 5일부터 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 이번 엑스포는 "세계로 가는 K-조달, 혁신을 조달하다! 미래를 개척하다!"라는 슬로건 아래, 660개 중소·벤처·혁신기업이 1,100개 부스를 운영하며 대한민국 공공조달 시장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 주었다.전시회는 단순한 제품 전시를 넘어, 탄소중립관과 요즘 전 산업분야에서 가장 핫한 AI·로봇관 등 혁신적인 기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강조한 다양한 전시 공간을 선보이며 많은 관심을 끌었다. 또한, 해외 바이어 상담회와 국제조달워크숍,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대한민국 조달 기업들이 해외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 2025. 3. 20.
빛의 거장 카라바조 & 바로크의 얼굴들 - 전시회 극적인 빛과 어둠, 그리고 강렬한 감정 표현으로 미술사의 흐름을 바꾼 화가, 카라바조. 그의 작품은 단순한 회화가 아니라, 한 편의 연극처럼 강렬한 드라마를 담고 있다.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빛의 거장 카라바조 & 바로크의 얼굴들” 전시는 그의 작품과 더불어 카라바조 스타일을 계승한 바로크 시대 거장들의 초상화를 함께 조망하는 자리였다.전시장에 들어서자마자 마주한 것은 빛과 어둠이 교차하는 강렬한 화면과, 생생한 인물의 표정이었다. 카라바조의 테네브리즘(극명한 명암 대비 기법)은 단순히 빛을 활용한 것이 아니라, 어둠을 배경으로 더욱 빛이 강조되도록 설계된 치밀한 구도 속에서 구현된 것임을 다시 한번 실감할 수 있었다.이번 전시는 ‘카라바조, 빛과 어둠의 대가’, ‘바로크의 얼굴들, 감정을 조각하다’,.. 2025. 3. 20.
22세기 유물전 – 미래가 남긴 흔적을 만나다 유물이라 하면 보통 먼 과거의 흔적을 떠올리지만, 과연 미래의 유물이라는 개념은 어떤 모습일까? 수원시립만석전시관에서 열린 “22세기 유물전”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흥미로운 답을 제시하는 전시였다. 흔히 유물이라 하면 조선 시대의 도자기나 삼국 시대의 청동기 같은 것들을 떠올리지만, 이번 전시에서는 22세기의 사람들이 남긴 유물이란 과연 어떤 형태일지에 대한 상상과 실험이 펼쳐지고 있었다.전시장에 들어서자마자 마주한 것은 미래 사회에서 발견된 듯한 다양한 유물들이었다. 어떤 것들은 21세기 우리가 사용했던 물건들이었지만, 해석 방식이 전혀 달랐다. 한편으로는 낯설면서도, 한편으로는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과 연결된 듯한 전시물을 보며 ‘미래의 사람들이 과거를 바라보는 시선은 어떤 모습일까?’ 하는 질문.. 2025. 3. 19.
나무에 새긴 마음, 조선 현판 전시회- 글씨에 담긴 정신과 예술이 만남 나무 위에 새겨진 글씨 한 자, 한 자에는 단순한 기록 이상의 의미가 담겨 있다. 조선 시대의 현판(懸板)은 단순한 건물의 이름표가 아니라, 시대를 관통하는 철학과 가치, 그리고 장인의 숨결이 깃든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열린 “나무에 새긴 마음, 조선 현판” 전시는 조선의 현판이 단순한 나무 조각이 아니라, 조선 왕실과 사대부의 정신을 담고, 백성들의 신앙과 기원을 새긴 기록물이었음을 조명하는 자리였다.전시장을 거닐며 나는 조선의 현판이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그 자체로 시대의 사상과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예술 작품이라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이번 전시는 ‘왕실 현판, 권위와 이상을 새기다’, ‘사대부의 서재에서 나온 글씨, 학문과 품격을 담다’, ‘사찰과 서민의 현판, 신앙과 .. 2025. 3. 19.
로컬 축제형 컨벤션의 글로벌 진출 성공전략 연구 – 지역에서 세계로 세계화가 가속화되면서 로컬 축제형 컨벤션이 단순한 지역 행사를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지역의 독창적인 문화와 전통을 기반으로 한 축제형 컨벤션은 관광산업과 연계하여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국가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을 위해서는 ‘로컬 브랜드를 글로벌 콘텐츠로 확장하는 전략’, ‘지속 가능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과 협력 모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글로벌 마케팅과 현지화 전략’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여러 로컬 컨벤션 사례들을 분석하며, 지역의 독창성을 유지하면서도 글로벌 감각을 반영하는 방법, 장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 그리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글로벌 관객과 효과적으로 소.. 2025. 3. 18.